이번에 기사를 읽다가 테슬라가 액면분할을 한다고 이번 주총에서 나왔더라고요
그래서 테슬라를 예로 액면분할에 대해서 설명하고 테슬라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
액면분할
먼저 간단하게 액면분할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
테슬라가 이번 주총에서 액면분할을 3/1로 한다고 나왔습니다

그렇게 되면 지금 테슬라의 1주당 가격은 925달러 대충 이야기 쉽게 930달러로 잡겠습니다
3분에 1 분할을 하게 되면 930 나누기 1을 하게 되면 310달러가 되겠네요
한마디로 액면 분할 이라는건 주식 가격을 쪼개서 주식수를 늘리는 걸 이야기하는 겁니다
어려운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 930달러를 930원으로 바꿔서 이야기해볼게요 그렇게 되면
한 주당 930원짜리가 액면분할 후는 한 주당 310원으로 거래가 되는 거고 테슬라 주식수가 총 100개라 치면 액분 후는 300개가 된다 이런 이야기입니다
액면분할은 호재?
호재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지금 테슬라 930달러는 한화로 120만 원이 넘는 가격입니다
그런데 이게 액면분할을 하게 되면 가격이 내려가잖아요? 그러게 되면 거래량에 있어서 더 활발히 움직일 수 있다 이런 이야기입니다
개인투자자 입장에서도 한주에 120만 원짜리 주식을 엄두도 못 내고 있다가 액분으로 가격이 내려가면 접근하기 쉬워지니깐요
그리고 한 가지 더 이야기하자면 액분을 한다고 해서 회사 가치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주식장에서 액분은 대부분 호재로 작용을 하지요
한 가지 더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

이건 저번 연도에 카카오가 주봉 차트 액면분할 후 주식 차트입니다 액분 후 주가가 처음에는 그럭저럭 가다가 우상향 쪽으로 한번 꺾인 걸 보실 수 있습니다
심지어 아래 거래량 보시면 액분 전과 액분 후 거래량 차이가 눈에 띄게 보실 수 있습니다
주식에 무조건은 없다 실적뿐
그런데 사실 액분 후 무조건 상승이라는 장은 없습니다 액분은 잠시 거래량이 활성화돼서 주식이 오른 것이지 카카오도 예시로 들었을 때 상향 후 꺾인 걸 보실 수 있습니다

이건 삼성전자 주봉 액분 후 차트 흐름입니다 시장에서 호재로 받아들일 뿐 이런 식으로 우하 양 차트를 그릴 수도 있다입니다
지금 카카오와 삼성전자 같은 경우 코스피를 대표하는 기업이고 실적도 되게 좋습니다 항상 투자하실 때는 회사를 알아볼
고 액분 후 어떤 흐름을 그릴 것인가 아니면 큰 미래를 내다볼 것인가 등 알아보셔야 됩니다
댓글